안녕하세요. 자산전문가 애셋입니다. 개인이 #근저당권 을 매입해서 #NPL투자 중 채무자 #회생신청 변수가 발생했던 사건이 있었네요. 사례를 통해 한 번 공부해볼까요? 건너편 수정구에 포레스티아가 입주되어서 전체적으로 이 일대가 가격이 올라가고 있습니다. 이 물건은 전용면적 25평 감정가 8.46억 한번 유찰되어서 5.92억원까지 떨어져 있었습니다. 선순위 채권 3.7억원이 있었고 이 중 후순위 7천만원짜리 개인 근저당권을 2천만원 할인해서 5천만원에 매입했다고 하네요. 그런데, 채무자 겸 소유자가 1월 30일 개인회생을 신청하면서 일방적으로 경매사건이 멈추게 됩니다. NPL 투자할 때 유념해야 할 부분이 이것이죠. ㅡㅡ;;; 그래도 다행인게 근저당권은 #별..
안녕하세요, 자산관리 전문 애셋입니다. 오늘은 2024년 2월 기준 부동산 #PF 리스크 이슈를 알아볼까 합니다. PF = Project Financing 특정 #부동산개발 사업에서 발생하는 미래 현금흐름을 #상환재원 으로 자금 조달하는 걸 말합니다. 기업의 신용이나 재무상태보다는, 프로젝트의 #사업성 을 기반으로 두어 #자금차입 하는 거죠. 부동산 호황기에는 큰 수익과 공급을 늘려줬지만, 불황기에는 경제 위협 요인이 되어서 2011년 저축은행 사태처럼 위험을 초래하기도 합니다. 현재 부동산 경기 하락기임에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요. 2020년 말 92.5조 원에서 2023년 9월 말 기준 134.3조 원으로 증가했습니다. 1. 업종별 규모 은행 > 보험 > 증권 > 캐피탈 > 저축은행 순인데요. 은행보..
안녕하세요. 자산관리 전문 애셋입니다. 경매로 #신림동 다중 주택이 나왔는데요. 처음 #감정가격 은 28억원, 두 번 #유찰 되어서 최저가 18억원이었다가. 1월 17일에 25억원에 매각되었네요.😶 공부할 겸 좀 살펴보겠습니다. 소위 빌라라고 부르는 그런 건축물들인데, 주택의 일종으로 #다가구 #다세대 로 나뉘고 있습니다. #다가구_다세대_구분 실생활에서 잘 구분이 안되는데요. #부동산투자 입장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다가구의 경우 건물 전체 #소유자 가 1명이고 다세대 경우 #건물전체 소유자가 여러 명입니다. 이번 신림동 물건은 외형은 보통의 다가구 주택과 똑같이 생겼는데 #고시원 이라고 생각할만큼 건물 하나에 19개 이하 호실로 구성이 되어있는 다중 주택입니다. #건축법 상 건물 하나에 총 19개 이하..